소프트웨어 & 시스템 플랫폼 개발 (SSPL) 역량 

국내에서 유일하게 제4차 산업혁명의 기업 핵심 경쟁력인 

다품종 대량맞춤 생산 (Masscustomization) 능력을 실현하는

SW플랫폼 개발의 현장 적용을 자문해 드립니다.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엔지니어링 - SSPL(Software & System Product Line)의 현장적용 교육훈련 및 컨설팅

제4차 산업혁명, IoT의 핵심역량인 다품종 대량맞춤 생산을 위한 SW플랫폼 개발을 실현 시켜드립니다.

SSPL에 대한 정보·자료 또는 PILOT개발 수행을 원하는 기업은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SSPL(Software & System Product Line Engineering)이란?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는 모든 시스템 개발에서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패러다임으로서 제품군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통한 포트폴리오 구성(SSPL Scoping) 및 요구 사항 분석, 공통적인 요소(공통성)와 가변적인 요소(가변성)를 구별하여 자산화하고 플랫폼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자산의 체계적인 재사용 및 다양한 자동화 도구 활용을 가능케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차별화/지능화, 개발기간 단축(짧은 개발기간), 개발 비용 절감(적은 비용), 품질 향상 등의 목표를 달성하면서 고객맞춤의 대량생산을 가능케 하는 21C 선진 생산방식임.  

    EU가 자동차, 항공기, 의료기기, 통신기기 등의 산업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어 핵심역할을 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적용한 기술로서 1990년대 초부터 EU의 핵심 SW R&D과제로 추진되어 오고 있으며 보쉬, 에어버스, 지멘스, 필립스, 탈레스, 노키아, 에릭슨, 보잉 등 100개 이상의 전세계 주요기업이 SW경쟁력 확보기술로 발전시키면서 ISO를 중심으로 세계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1. SSPL 포럼 운영

  • 한국소프트웨어기술진흥협회에서는 SSPL 기술에 대해 정보를 제공, 보급하기 위해 지난 2011년 9월 CTO 및 기술임원으로 구성된 공동 스터디 

    그룹을 구성하여 총 33회의 워크삽을 개최, 60개가 넘는 SSPL 주제에 대한 발표와 Q&A, 토론을 진행하여 그결과를‘SSPL 이해와 

    적용전략’이라는 책자를 발간하였음.

  • 현재는 SSPL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을 발굴하여 적용 실천계획의 수립부터 실천내용에 대해 정기적으로 진행실적을 검토하고 단계별 추진계획을 

    공동으로 수립, 점검해가는 활동을 수행 중

2. SSPL 핵심 5개 영역

5개 영역세부 영역
제품군 정의
· 제품군 범위결정(Scoping), 가치관리, SSPL로의 전이, 제품군 관리,  
   제품군 품질관리, 조직 차원에서의 측정 메트릭
제품군 플랫폼 개발
· 도메인 아키텍처 스타일, 도메인 아키텍처 description
· 가변성 모델링, 가변성 메커니즘, 바인딩을 위한 규칙 및 제약조건
· 도메인 V&V (도메인 공학에서의 정적시험, Mock-up, 정형모델 등)
· 도메인 아키텍처 비용/이익 평가, 도메인 아키텍처 트레이드오프 평가 
제품군 멤버제품개발
·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도출, 아키텍처에서의 바인딩 메커니즘, 
   도메인 아키텍처와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아키텍처 구조와의 통합, 조정
· 어플리케이션 V&V (어플리케이션 공학에서의 정적시험, 정형모델 등)
재사용 자산베이스 구축
· 공통/가변 자산 버전관리, 플랫폼 형상 관리, 제품 형상관리
· 도메인 및 어플리케이션 공학에서 추상화 수준이 다른 추적성   
제품 개량
· SSPL 심사 프로세스 모델, SSPL 프로세스 심사 프레임워크, Exemplar           SSPL 프로세스 심사 모델
· SSPL 인증 모델, 인증 가이드라인

3. SSPL 인프라 기술구조

< ※ISO/IEC 26550: Software and systems engineering - Reference model for product line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3 >

4. SSPL 원천 기술요소

대분류중분류
소분류
SSPL범위결정
포트폴리오결정대량 맞춤수요 기반 시장분할 (Kano 등)
제품군 멤버 정의
피처(Feature) 수준의 공통성/가변성 분석
포트폴리오(Portfolio) 정의
도메인 범위결정기능/품질 영역(domain) 분석
기능/품질 영역 정의
포트폴리오 정의 정제
자산범위결정기존(Legacy) 자산 분석
SSPL I/O 분석
재사용 자산 분석 모델
SSPL 경제성분석/의사결정 모델
SSPL플랫폼
SSPL 가변성가변성 모델링
가변성 메커니즘
가변성 시각화
가변성 영향 평가
가변성 제약
가변성 결정
SSPL 최적화공통성 측정 메트릭
공통성/가변성 최적화
재사용성 측정 메트릭
SSPL 추적성가변성 모델 기반 추적성
계층화 추적성
계층화된 플랫폼 아키텍처(Platform of Platforms)뷰 기반 프레임워크
계층화된 플랫폼 아키텍처 설계
계층화된 플랫폼 아키텍처 Simulation
계층화된 플랫폼 아키텍처 표현 언어
SSPL 자산자산 베이스 (Asset Base)
도메인 자산 (Domain Asset)
멤버 자산 (Application Asset)
기존 자산 (Legacy Asset)
자산 통제
대분류중분류
소분류
SSPL V&V
SSPL 테스팅SSPL 테스트 시나리오 정의
테스트 시나리오 기반 시험 케이스 생성
SSPL 도메인 시험 실행
SSPL 개별 멤버 시험 실행
SSPL 진화 관점에서의 시험
SSPL V&V 분석SSPL 정형 검증 방법
SSPL 모델 체킹
SSPL Interface 검증
SSPL 정적 분석
SSPL 동적 분석
SSPL 형상관리
형상 제어버전 와해 방지
공간 가변성 제어
계층화 형상 제어
형상 관리SSPL 형상 모델
SSPL 형상 표현
SSPL 형상 관계성
변경 전파 및 추적성
SSPL 프로세스
SSPL 프로세스 모델조직 프로세스
아키텍처 프로세스
품질 프로세스
성숙도 개선 프로세스
SSPL 프로세스 심사SSPL 프로세스 심사 모델
SSPL 형상 표현
SSPL 프로세스 역량 측정 프레임워크
SSPL 프로세스 심사 프레임워크
Exemplar SSPL 프로세스 심사 모델
SSPL 프로세스 인증SSPL 인증 모델
SSPL 인증 프로세스

5. SSPL 소개책자

  • 세계의 대표적인 SSPL관련 유럽 및 미국의 대표서적 4권과 SSPL 관련 1,000개의 논문 중 
    엄선된 22개 주제에 대한 요약 정리문과 전문가 질의 응답 토의 내용 수록 

  • <서적>
    ·Klaus Pohl, Gunter Bockle, and Frank van der Linden,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Springer, 2010 (약자‘PBL’)
    ·Frank van der Linden, Klaus Schimid, and Eelco Rommes, Software Product Lines in Action, Springer, 2007 (약자‘LSR’)
    ·Paul Clements and Linda Northrop, Software Product Lines – Practices and Patterns, Addison-Wesley, 2002 (약자‘CN’)
    ·Timothy Simpson, Zahed Siddique, and Jianxin Jiao, Product Platform and Product Family Design – Methods & Applications,
    Springer, 2006 (약자‘SSJ’ )

  • <논문>
    ·Experiences in Software Product Families, SPLC
    ·1.1 HSH06b, Marketed & Engineered Software Product Lines, SPLC
    ·1.2 STB04, PLA at Bosch Gasoline Systems, SPLC
    ·1.2 JDB07, Migration to Software Product Lines, SPLC
    ·2.1 MC08, Empirical Investigation of Software Reuse, ACM TSEM
    ·2.2 JKL06, Guide to Product Line Scoping, SPLC
    ·2.2 GMY06, Return-on-Investment for Product Line, SPLC
    ·3.2 Mat04, COPA, FAST, FORM, KobrA and QADA, ICSE
    ·3.2 BFG01, Variability Issues in Software Product Lines, PFE
    ·4.1 BGL03, A Meta-model for Representing Variability, PFE
    ·4.1 SDN04, COVAMOF: A Framework for Variability, SPLC
    ·4.2 PYZ11, Evolution of Variability in a Software Product Line, IST
    ·5.1 CKC08, Integrating Component and Product Lines, ICSR
    ·5.1 Hun06, Asset Base for Product Derivation, SPLC
    ·5.2 PKG08, Automation and Flexibility in Product Derivation, SPLC
    ·5.2 GKK07, Test Strategies for a Software Product Line, SPLC
    ·6.1 BMK02, Institutionalizing a Product Line Culture, SPLC
    ·6.1 Bos02, Evolution in Software Product Lines, SPLC
    ·6.2 KMS00, Product Line in Small and Medium Companies, IEEE SW
    ·6.2 LBK04, Product Family Evaluation, SPLC 

   SSPL 활동

  SSPL 수료식

< SSPL  수료식 >

< SSPL 워크샵 활동 >

   SSPL 개요 소개 참고자료

   SSPL 수행 전략 1

  • H/W및 OS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기반의 SW 플랫폼과 공통모듈 개발하고 OEM의 요구에 따라 변동모듈을
    개발하는 SSPL 접근방식 적용

SSPL 수행 전략 2

  • 제품 패밀리의 모든 제품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SSPL의 SW 개발 접근방법을 구축

SSPL 수행 전략 3

  • 제품 패밀리의 모든 제품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는 SSPL의 SW 개발 접근방법을 구축

   SSPL BoK

  • SSPL 의 이론과 적용 지식(BoK: Body of Knowledge)을 단계적, 종합적으로 습득하여야 함

   SSPL 도입 로드맵

  • 프로토타입을 통한 기본 검증을 거쳐 단계별로 확대하는 SSPL 도입 로드맵을 적용

   문의처

한국SW기술진흥협회 회원사 역량 담당 윤태권  E-mail: tkyune@kosta.or.kr, Tel: 010-7123-7835 

(분당교육센터) 경기도 성남시 성남대로 34 하나프라자 6층

(가산교육센터)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70 호서대벤처타워 9층  

(종로교육센터)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2길 21 대왕빌딩 7층

Tel.031-606-9311|E-mail. kosta@kosta.or.kr

Copyright ⓒ KOSTA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